[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] saveBackup (자동저장)
에디터/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 2018. 9. 17. 15:25
vscode 의 자동저장 방법 입니다.
오토세이브, 백업파일 생성 이라고 많이 부르시는거 같아요.
이 기능은 에디트 플러스에는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던거로 기억합니다.
자동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이유는 보통 버전관리툴(Git, SVN)의 사용이 여의치 않으신 분들이 사용 하시는것 같습니다.
자동 백업은 이전에 작성했던 소스를 알고 싶다거나 되돌려야 할 때 사용하죠.
(사실 이런건 백업 파일들이 쌓이는 이런 방식보다는 거의 무조건 스냅샷으로 관리되는 Git 이나 SVN 이 좋습니다.)
일단 필요하신 분들이 몇분 계시는것 같아서 작성합니다.
우선 좌측의 확장 버튼을 눌러줍니다. 그리고 나오는 창에서 saveBackup 이라고 검색하면 단 하나 나옵니다.
설치버튼 눌러줍니다.
다시 로드 클릭
현재 제 D드라이브의 폴더 구성은 이렇습니다.
D:/
- test3
- projectA
- projectB
이렇게 되어 있는데 projectA 에 test.html 파일을 만들어서 백업 기능을 테스트 해봤습니다.
그랬더니 우측 하단에 에러가 뜨네요.
우측 하단의 에러를 펼쳐 봤더니 해당 경로에 backup 폴더가 없다고 뜹니다.
어딘지 찾는것도 좀 번거롭습니다. 아마 제가 테스트 했을 당시엔 C드라이브 -> 사용자 -> [유저이름] -> .vscode -> 확장기능... 이런 경로였던거 같습니다.
이 경로 바꿔줘야 합니다.
우선 백업 폴더가 눈에 보여야 하니깐 그냥 저는
D:/
- test3
- Backup
- projectA
- projectB
이렇게 test 폴더 바로 아래에 Backup 폴더를 만들었습니다. 그리고 이 Backup 폴더에 백업을 진행할꺼예요.
에디터의 좌측 상단 파일 -> 기본설정 -> 설정 으로 들어갑니다.
단축키는 컨트롤 + 콤마 버튼 입니다.
그럼 이런 창이 뜨는데 바로 위에 검색창에 backup dir 이라고 검색해 줍니다.
그러면 하단에 save backup > conf: Backup dir 이런 옵션이 하나 검색 되는데
아랬족에 경로를 아까 Backup 이라고 만들었던 폴더로 지정해 주었습니다.
백업 폴더의 경로를 바꿀땐 먼저 백업 폴더를 미리 만들어둔 상태에서 진행해 주시면 좋습니다.
아주 잘 됩니다.
폴더를 바꿔서 세이브를 해도 다른 폴더를 만들어서 세이브를 해줘서 관리하기 편할꺼 같습니다.
'에디터 >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] 에디터 한글로 전환 (16) | 2019.01.02 |
---|---|
[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] Live Share (실시간 라이브 코딩) (0) | 2018.11.14 |
바요엔님 감사합니다 ㅎㅎ (0) | 2018.08.31 |
[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] Preview on Web Server (4) | 2018.02.12 |
[비주얼 스튜디오 코드(Visual Studio Code)] 감싸는 태그 만들기(htmltagwrap) (9) | 2018.02.07 |